니야야 수트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야야 수트라는 고타마가 저술한 것으로 여겨지는 고대 인도 철학 텍스트로, 힌두 철학의 니야야 학파의 주요 경전이다. 이 텍스트는 추론과 논리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제시하며, 지식을 얻는 네 가지 수단(지각, 추론, 비교, 증언)을 다룬다. 니야야 수트라는 다섯 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논증의 구조, 오류 추론, 의심 이론, 인과 관계, 영혼과 해방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이 텍스트는 힌두교의 다른 학파와 불교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불교 철학과의 논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니야야 수트라에 대한 다양한 주석서가 존재하며, 현대 철학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힌두 수트라 - 요가수트라
파탄잘리가 저술한 요가 철학의 기본 텍스트인 《요가 수트라》는 196개의 격언으로 이루어진 4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요가의 목적, 수행 방법, 해탈 과정 등을 설명하며, 다양한 인도 철학 체계를 통합하고 현대 요가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힌두 수트라 - 카마수트라
카마수트라는 바츠야야나 말라나가가 저술한 고대 인도의 산스크리트어 지침서로, 사랑, 성, 인간 관계에 대한 지혜를 담고 있으며, 힌두교의 삶의 목표 중 카마를 중심으로 결혼, 가정, 사회생활 등 인간 관계 전반을 다룬다. - 논리사 - 노붐 오르가눔
《노붐 오르가눔》은 프랜시스 베이컨이 귀납법을 제시하며, 네 가지 우상을 극복하고 관찰과 실험을 통해 참된 지식에 도달해야 한다고 주장한 저서이다. - 논리사 - 라뮈즘
라뮈즘은 16세기 프랑스 철학자 페트루스 라뮈스가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에 반대하며 주창한 사상으로, 논리학과 수사학을 재정의하고 이분법적 도표를 활용하여 지식을 조직했으며, 고등 교육과 문학에 영향을 미쳤다.
니야야 수트라 | |
---|---|
니야야 학파 | |
유형 | 정통파 |
철학적 전통 | 힌두 철학 |
창시자 | 악샤파다 고타마 |
주요 텍스트 | 니야야 수트라 |
주요 인물 | |
초기 | 바차스파티 미슈라 우다야나 자얀타 바타 바사바즈나 |
후기 | 강게샤 우파디야야 라구 나타 시로마니 |
핵심 개념 | |
인식론 | 프라마나 |
방법론 | 논리학 |
영향 받은 학파 | |
학파 | 불교 바이셰시카 나비야-니야야 |
영향을 준 학파 | |
학파 | 나비야-니야야 힌두 철학 |
2. 저자와 연대기
《니야야 수트라》는 고타마의 저작으로 알려져 있으며, 적어도 고타마가 주요 저자이다.[3] 칼 포터(Karl Potter)에 따르면, 이 이름은 매우 흔한 인도 이름이며,[14] 저자는 존경의 의미로 고타마(Gotama), 디르가타파스(Dirghatapas) 및 악샤파다 고타마(Aksapada Gautama)라고도 불린다.[3] 고타마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으며, 그가 언제 살았는지도 불분명하다. 학자들은 텍스트 분석을 통해 기원전 6세기, 즉 고타마 붓다(싯다르타 고타마)와 마하비라와 동시대 인물로 추정하기도 하고, 기원후 2세기까지 늦춰서 추정하기도 한다.[3]
सूत्र|수트라sa는 "끈, 실"을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 단어로, 특정 분야 또는 학파의 지식을 담은 간결한 안내서를 나타낸다.[18][19] 각 수트라는 단어 또는 음절로 증류된 정리와 같은 짧은 규칙으로, "의례, 철학, 문법 또는 지식의 어떤 분야의 가르침"이 엮일 수 있다.[18][20] 수트라는 기억하고, 참조로 사용하며,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아이디어를 가르치고 전달하기 위해 편집되었다.[19][21]
न्यायसूत्र|니야야 수트라sa는 인식론, 논리학, 형이상학, 윤리학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특히, 지식을 얻는 네 가지 방법인 지각, 추론, 비교, 증언을 상세히 설명하고, 올바른 논증과 오류 추론에 대한 이론을 제시한다.
일부 학자들은 난해한 텍스트인 《니야야 수트라》가 여러 저자에 의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확장되었다는 이론을 지지하며,[3] 고타마가 저술한 기원전 1천년기 중반 무렵의 초기 내용이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한다.[14] 텍스트의 초창기 부분은 제1권과 제5권일 가능성이 높으며, 제3권과 제4권은 가장 나중에 추가되었을 수 있지만, 이는 확실하지 않다.[14]
지안앤 포울러(Jeaneane Fowler)는, 니야야(Nyaya)와 합리성의 과학은 베다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으며, "왕의 궁정과 베다 철학자들의 학당에서 벌어진 변증법적 토론"을 포함한 고대 인도 전통에서 발전했다고 말한다. 고타마는 이러한 기존의 지식을 정리하고 체계화하여 아포리즘(aphoristic)의 모음집인 수트라 또는 《니야야 수트라》로 만들었다.[15]
힌두교의 니야야 학파는 힌두 철학의 다른 모든 학파뿐만 아니라 불교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들은 서로 달랐음에도 불구하고 서로 함께 공부하고 아이디어를 논쟁했으며, 티베트 기록에 따르면 불교 학자들이 추론과 논리의 기술을 마스터하기 위해 힌두 니야야 학자들과 수년 동안 함께 거주했다고 한다.[5] 이러한 협력 덕분에 학자들은 현재 남아있는 《니야야 수트라》의 버전을 기원후 2세기경, 즉 나가르주나가 불교의 "수트라 4.2.25는 중관파 시스템을 반대한다"고 명시적으로 언급한 시점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14] 다른 고대 불교 텍스트는 《니야야 수트라》가 그들보다 먼저 존재했음을 확인하며, 이 텍스트는 힌두교의 고(old) 니야야 학파의 주요 텍스트로 간주된다.[16]
3. 구조
니야야 수트라는 각 책이 두 개의 장으로 세분된 다섯 권의 책으로 나뉘어 있다. 텍스트의 구조는 매일 분량으로 제공되는 ''아흐니카'' 또는 수업의 레이아웃으로, 각 부분은 여러 개의 수트라 또는 격언으로 구성된다.[16]
니야야 수트라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책 장 수트라 수 주제[22][23] 1 1 41 텍스트의 주제 및 목적의 진술. 정확한 지식의 네 가지 신뢰할 수 있는 도구, 정의, 논증의 본질과 유효한 증명의 과정의 본질. 2 20 상반된 견해를 분석하는 방법, 다섯 멤버 논증에 대한 이론 제시, 모순이 없는 올바른 결론, 결함이 있는 추론 방법 이론, 기만이란 무엇이며 이를 피하는 방법. 2 1 69 의심에 대한 이론 제시. 인식론, 지각, 추론 및 비교가 신뢰할 수 없고 신뢰할 수 없는 경우에 대해 논의. 증언의 신뢰성은 소스의 신뢰성에 달려 있다는 이론. 2 71 지식의 도구는 네 가지, 추정과 편견으로 인한 혼란, 소리는 비영원한 이론, 단어의 세 가지 의미 이론(vyakti, akrti 및 jati) 3 1 73 신체에 대한 이론을 제시한 다음, 감각 기관과 정확하고 부정확한 지식에서의 역할에 대한 이론을 제시하며, 영혼은 감각 기관도 내장 기관도 아니라고 진술한다. 2 72 영혼(자아, 아트만)에 대한 이론을 제시하며, 사람의 본질과 판단의 근원은 영혼이며, "판단은 비영원하다"는 이론을 진술하고, 업에 대한 이론을 제시한다. 4 1 68 결함에 대한 이론을 제시한 다음, "모든 것은 원인과 결과를 갖는다"는 이론과 "어떤 것은 영원하고, 어떤 것은 비영원하다"는 이론을 제시한다. 과실, 고통, 해방을 정의하고 설명한다. 2 50 정확한 지식이 결함을 파괴하는 데 필요하고 충분하다는 것을 제시한다. 전체와 부분 모두 알아야 한다. 외부 세계가 존재하고 현상은 객체만큼 현실적임을 확립한다. "모든 것이 거짓이다"라는 이론을 반박한다. 정확한 지식을 생산하고 유지하는 방법, 지식을 가진 사람을 찾고 대화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5 1 43 24가지 무익한 반박, 오류를 피하고 관련 반박을 제시하는 방법 2 24 논쟁에서 지는 22가지 방법
4. 내용
이 텍스트의 첫 번째 수트라 1.1.1은 그 범위를 설명하며, 어떤 분야에서든 역량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 다음과 같은 열여섯 가지 범주의 지식을 주장한다.[16]1. 올바른 지식의 수단 (프라마나) 2. 올바른 지식의 대상 (프라메야) 3. 의심 (삼사야) 4. 목적 (프라요자나) 5. 익숙한 예시 (드르슈탄타) 6. 확립된 교리 (시드한타) 7. 추론의 구성 요소 (아바야바) 8. 추론 (타르카) 9. 확인 또는 결과 (니르나야) 10. 토론 (바다) 11. 궤변 논쟁 (잘파) 12. 트집 (비탄다) 13. 오류 (찰라) 14. 무익한 반박 (자티) 15. 논쟁에서 지는 방법 (니그라하스타나)
이 열여섯 가지 범주는 텍스트의 많은 부분을 포괄한다. ''니야야 수트라''의 구절 1.1.2는 이 텍스트의 목표가, 위 열여섯 가지 완벽한 지식 범주를 적용하여 그릇된 지식, 결함 및 슬픔으로부터 영혼의 해탈을 연구하고 설명하는 것임을 선언한다.[16][26][27]
니야야 수트라는 지식을 얻는 네 가지 신뢰할 수 있는 수단으로 지각, 추론, 비교, 증언을 제시한다.[31][22]
또한 초기 니야야 학자들은 이슈바라 가설을 고려하기도 하였으며,[73][74] 4권 1장에서는 ''이슈바라''를 포함한 다양한 가설을 다루기도 하였다.[75]
이후 니야야 학파의 학자들은 신에 대한 다양한 논쟁과 주장을 제시하기도 하였다.[76]
니야야 수트라의 세 번째 책은 자아(영혼, 아트만)의 전제와 본질, 그리고 이것이 지식, 슬픔으로부터의 해방, 내적 자유(목샤)와 갖는 관계에 대해 상당 부분 할애하고 있다.[79][80]
니야야 수트라는 4.2.42절부터 4.2.48절까지는 "철학은 요가의 한 형태"라고 말한다.[81]
4. 1. 인식론
니야야 수트라는 "모든 지식이 본질적으로 타당한 것은 아니"며, "대부분의 지식은 증명되지 않으면 타당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또한 "진실은 우리 인간이 그것을 알든 모르든 존재한다"는 전제를 제시한다.[28] 그러나 이 텍스트는 "일부 지식은 자명하다"는 기본 전제를 받아들이는데, 이는 "나는 의식하고 있다", "나는 생각한다", "영혼이 존재한다"와 같이 모든 지식 분야에서 공리적이며 증명될 수도 없고 증명될 필요도 없다.[28][29]
니야야 수트라는 지식이 자기 계시적이지 않다고 주장하며, 지식을 얻기 위해서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이는 올바른 지식을 배우고 잘못된 지식을 버릴 수 있도록 하는 체계적인 과정이다.[28][30]
니야야 수트라는 지식을 얻는 네 가지 신뢰할 수 있는 수단(''pramāṇa'')으로 지각, 추론, 비교, 신뢰할 수 있는 증언을 제시하고 논의한다.[31][22]
4. 1. 1. 지각 (Pratyaksha)
니야야 수트라는 지각이 참된 지식을 얻는 주요한 올바른 수단이라고 주장한다.[28] 이 텍스트에 따르면 다른 모든 인식 방법은 직간접적으로 지각에 기반하며, "참된 지식"이라고 주장되는 모든 것은 지각에 의해 확인되거나 확인 가능해야 한다.[28] 이것을 수렴의 원리라고 부르며, 이 원리에는 직접적 또는 암시적 지각이 포함된다.[30] 가우타마는 지각을 하나 이상의 감각이 대상 또는 현상과 접촉하여 생기는 지식으로 정의한다.[28][32]
가우타마는 지각 과정에서 대상과 주체 모두에 대해, 그리고 감각이 신뢰할 수 없을 수 있는 경우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많은 수트라를 할애한다. 니야야 수트라는 부정확한 시력이나 다른 감각(Avyabhicara)이 의심이나 잘못된 지식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선입견이나 편견적인 정신 상태 또한 마찬가지라고 말한다.[28][32][30]
이 텍스트는 ''Pratyaksa''(직접지각)가 다섯 감각이 현실을 직접적이고 명확하게 파악하는 ''Laukika''(보통의 지식)로 이어진다고 주장하며, 이것이 텍스트에 따른 참된 확정적 지식이다.[28][30] 불확정적 지식은 의심이 있는 것으로 정의하며, 텍스트는 저녁에 멀리 떨어진 정지된 물체를 보고 그것이 기둥인지 아니면 멀리 서 있는 사람인지 궁금해하는 예를 든다. 니야야 수트라는 이러한 경우 중 일부에서 올바른 지식이 누적 증거의 원리에 의해 공식화된다고 말한다.[28] 텍스트에서 ''Manas''(마음)는 내부 감각으로 간주되며, 정보를 포함, 제외 또는 통합하는 방식에 따라 올바른 지식이나 잘못된 지식으로 이어질 수 있다.[28] 이러한 아이디어는 텍스트의 후반부에서 ''Aprama''(오류 이론)에 대한 논문으로 정리된다.[28][30]
4. 1. 2. 추론 (Anumana)
니야야 수트라는 지식을 얻는 네 가지 신뢰할 수 있는 수단(''pramāṇa'') 중 하나로 추론을 제시한다.[31][22]
4. 1. 3. 비교 (Upamana)
니야야 수트라는 지식을 얻는 네 가지 신뢰할 수 있는 수단(''pramāṇa'') 중 하나로 비교를 제시한다.[31][22] 비교(Upamana)는 유사성을 통해 새로운 지식을 얻는 것을 의미한다.
4. 1. 4. 증언 (Shabda)
니야야 수트라는 지식을 얻는 네 가지 신뢰할 수 있는 수단(''pramāṇa'') 중 하나로 신뢰할 수 있는 증언, 즉 신뢰할 수 있는 출처의 말을 통해 지식을 얻는 것을 제시한다.[31][22]
4. 2. 논리학
니야야 수트라는 "모든 지식이 본질적으로 타당한 것은 아니다", "대부분의 지식은 증명되지 않으면 타당하지 않다" 그리고 "진실은 우리 인간이 그것을 알든 모르든 존재한다"는 전제를 주장한다.[28] 하지만, 파울러는 이 텍스트가 "일부 지식은 자명하다"는 기본 전제를 받아들이는데, 이는 모든 지식 분야에서 공리적이며, "나는 의식하고 있다", "나는 생각한다", "영혼이 존재한다"와 같이 증명될 수도 없고 증명될 필요도 없다고 보았다.[28][29] 이 텍스트는 지식이 자기 계시적이지 않다는 주장을 제시하며, 지식을 얻기 위해 노력해야 하고, 이것은 올바른 지식을 배우고 잘못된 지식을 버릴 수 있도록 하는 체계적인 과정이라고 말한다.[28][30]
니야야 수트라는 지식을 얻는 네 가지 신뢰할 수 있는 수단(''pramāṇa'') 즉, 지각, 추론, 비교, 그리고 신뢰할 수 있는 증언을 주장하고 논의한다.[31][22]
4. 2. 1. 올바른 논증 이론
니야야 수트라는 "모든 지식이 본질적으로 타당한 것은 아니다", "대부분의 지식은 증명되지 않으면 타당하지 않다" 그리고 "진실은 우리 인간이 그것을 알든 모르든 존재한다"는 전제를 주장한다.[28] 하지만, 파울러는 이 텍스트가 "일부 지식은 자명하다"는 기본 전제를 받아들이는데, 이는 모든 지식 분야에서 공리적이며, "나는 의식하고 있다", "나는 생각한다", "영혼이 존재한다"와 같이 증명될 수도 없고 증명될 필요도 없다고 보았다.[28][29] 이 텍스트는 지식이 자기 계시적이지 않다는 주장을 제시하며, 지식을 얻기 위해 노력해야 하고, 이것은 올바른 지식을 배우고 잘못된 지식을 버릴 수 있도록 하는 체계적인 과정이라고 말한다.[28][30]
니야야 수트라는 지식을 얻는 네 가지 신뢰할 수 있는 수단(''pramāṇa'') 즉, 지각, 추론, 비교, 그리고 신뢰할 수 있는 증언을 주장하고 논의한다.[31][22]
4. 2. 2. 오류 추론 이론 (Hetvabhasa)
니야야 수트라는 오류 추론, 즉 헤트바바사(Hetvabhasa)에 대한 이론을 제시한다. 이는 "대부분의 지식은 증명되지 않으면 타당하지 않다"라는 전제에서 출발하며, 지식 습득 과정에서 오류를 경계해야 함을 강조한다.[28]
니야야 수트라는 지식의 한 형태로서 ''삼사야''(산스크리트어: संशय, 의심)를 정의하고 논의한다.[54] 의심은 오류나 지식의 부재가 아니라, 불완전하거나 모순된 정보에 직면했을 때 발생하는 불확실성과 확률에 대한 인간의 고뇌를 의미한다.[56] 이는 부분적으로 유효하고 부분적으로 무효할 수 있는 지식이지만, 긍정적인 가치를 지닌 지식의 한 형태이며, "더 나아가 조사할 것"을 권유한다.[56] 즉, 의심은 지식 발견의 수단인 지각, 추론, 비교, 증언을 통해 더 깊은 탐구를 유도하는 심리적 상태이자 지식으로 가는 수단이다.[56][57]
4. 2. 3. 의심 이론
니야야 수트라는 수트라 1.1.23, 2.1.1 ~ 2.1.7, 3.2.1, 4.2.4 등에서 ''삼사야''( संशय|삼사야sa, 의심)를 정의하고 논의한다.[54] 이 논의는 다른 힌두 철학 학파에서 발견되는 것과 유사하며, 바이셰시카 학파의 카나다가 제시한 의심 이론을 확장하지만, 차르바카 학파의 의심 이론과 그에 따른 "경험적 지식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다.[55][57]
니야야 수트라에 따르면 의심 이론은 인지된 대상과 관련하여 상반된 가능성이 존재할 때 발생하는 인간 학습 과정의 일부라는 전제에서 시작한다.[56] 의심은 오류도 아니고 지식의 부재도 아니며, 불완전하거나 모순된 정보에 직면했을 때 불확실성과 확률에 대한 인간의 고뇌의 한 형태이다.[56] 그것은 부분적으로 유효하고 부분적으로 무효할 수 있는 지식이지만, 의심은 긍정적인 가치를 지닌 지식의 한 형태이다.[56] 텍스트는 의심이 "더 나아가 조사할 것"을 권유한다고 주장한다. 지식 발견의 네 가지 수단(지각, 추론, 비교 및 증언) 모두 이 조사에 유용할 수 있지만, 수트라에 따르면 의심은 그 자체로 유효한 지식이 아니라 심리적 상태이자 지식으로 가는 수단이다.[56][57]
4. 3. 형이상학
न्यायसूत्र|니야야 수트라sa는 지식이 자기 계시적이지 않다고 주장하며, 지식을 얻기 위해 노력해야 하고, 이것이 올바른 지식을 배우고 잘못된 지식을 버릴 수 있도록 하는 체계적인 과정이라고 말한다.[28][30]
4. 3. 1. 인과 관계 이론
न्यायसूत्र|니야야 수트라sa는 "모든 지식이 본질적으로 타당한 것은 아니다", "대부분의 지식은 증명되지 않으면 타당하지 않다" 그리고 "진실은 우리 인간이 그것을 알든 모르든 존재한다"는 전제를 주장한다.[28] 하지만, 파울러는 이 텍스트가 "일부 지식은 자명하다"는 기본 전제를 받아들이는데, 이는 모든 지식 분야에서 공리적이며, "나는 의식하고 있다", "나는 생각한다", "영혼이 존재한다"와 같이 증명될 수도 없고 증명될 필요도 없다고 설명한다.[28][29]
4. 3. 2. 부정적 실체 이론
니야야 수트라는 "모든 지식이 본질적으로 타당한 것은 아니다", "대부분의 지식은 증명되지 않으면 타당하지 않다" 그리고 "진실은 우리 인간이 그것을 알든 모르든 존재한다"는 전제를 주장한다.[28] 하지만, 이 텍스트는 "일부 지식은 자명하다"는 기본 전제를 받아들이는데, 이는 모든 지식 분야에서 공리적이며, "나는 의식하고 있다", "나는 생각한다", "영혼이 존재한다"와 같이 증명될 수도 없고 증명될 필요도 없다.[28][29]
또한 이 텍스트는 지식이 자기 계시적이지 않다는 주장을 제시하며, 지식을 얻기 위해 노력해야 하고, 이것은 올바른 지식을 배우고, 잘못된 지식을 버릴 수 있도록 하는 체계적인 과정이라고 말한다.[28][30] 니야야 수트라는 지식을 얻는 네 가지 신뢰할 수 있는 수단(''pramāṇa'') 즉, 지각, 추론, 비교, 그리고 신뢰할 수 있는 증언을 주장하고 논의한다.[31][22]
4. 4. 신(이슈바라)에 대한 논의
초기 니야야 학자들은 축복, 은혜, 그리고 결실을 부여하는 능력을 가진 창조주 신으로서의 이슈바라 가설을 고려했다.[73][74]
니야야 수트라 4권 1장에서는 우주에서 실체(생명, 물질)의 생성과 소멸을 유발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검토한다. 여기에는 ''이슈바라''를 포함한 많은 가설이 고려된다. 19절~21절은 이슈바라가 존재하며 원인이라고 가정하고, 그 가설의 결과를 제시한 다음, 반대 증거를 제시하며 모순으로부터 그 가설이 유효하지 않다고 결론 내린다.[75]
결론 수트라 | 이슈바라는 원인이다. 왜냐하면 인간의 행위가 때때로 결실(결과)을 얻지 못하는 것을 보이기 때문이다. |
---|---|
일차적 반대 수트라 | 그렇지 않다. 왜냐하면 사실, 인간의 행위 없이는 어떤 결실도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
결론 수트라 | 그렇지 않다. 왜냐하면 그것은 그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
니야야 수트라, 4.1.19 – 4.1.21[75] |
니야야 학파의 다른 학자들은 이 문제를 다시 생각하고 신(이슈바라)이 무엇인지에 대한 논쟁과 ''이슈바라''의 존재를 증명하기 위한 다양한 주장을 제시했다.[76] 예를 들어, 5세기 CE 니야야 학파 학자인 프라스타파다는 신의 전제에 대해 다시 검토했다. 그는 우다야나에 의해 이어졌으며, 우다야나는 그의 저서 ''니야야쿠수만잘리''에서 위 니야야 수트라의 4.1.21절의 "그것"을 "인간의 행위"로, "그"를 "이슈바라"로 해석한 다음, 이슈바라의 존재를 증명하기 위한 반대 주장을 전개했는데, 이는 2천년 CE의 신-니야야 및 다른 힌두교 전통에서 신에 대한 논쟁과 의견 불일치를 촉발하는 논리가 되었다.[75][77][78]
4. 5. 영혼과 해방
니야야 수트라의 세 번째 책은 자아(영혼, 아트만)의 전제와 본질, 그리고 이것이 지식, 슬픔으로부터의 해방, 내적 자유(목샤)와 갖는 관계에 대해 상당 부분 할애하고 있다.[79][80]니야야 수트라는 영혼이 고통과 즐거움을 모두 인식하고, 모든 고통과 즐거움을 경험하며, 모든 고통, 즐거움, 그리고 그 원인을 알고, 의식, 지식, 인지의 근본이라고 설명한다. 또한 영혼(자아)은 알 수 있다고 주장한다.[79]
파울러는 이 텍스트가 "일부 지식은 자명하다"는 기본 전제를 받아들이며, 이는 모든 지식 분야에서 공리적이고, "나는 의식하고 있다", "나는 생각한다", "영혼이 존재한다"와 같이 증명될 수도 없고 증명될 필요도 없다고 보았다.[28][29]
4. 6. 철학과 요가
니야야 수트라 4.2.42절부터 4.2.48절까지는 "철학은 요가의 한 형태"라고 말한다.[81]이 텍스트는 4.2.42절에서 숲, 동굴 또는 모래 해변과 같은 조용한 장소에서 요가 명상을 권장하며, 지식을 추구하는 사람은 4.2.46절에서 야마, 니야마 및 요가의 영성을 통해 자신의 영혼을 정화해야 한다고 말한다.[84][85] 명상은 이 텍스트에서 소중하게 여기고 권장되는 수행이며, 악샤파다 고타마를 따르는 니야야 학자들에 의해 광범위하게 논의되었다.[82] 바츠야야나는 니야야 수트라에 대한 자신의 주석에서 명상이 진실에 도달하려는 의식적인 열망을 동반하며, 마음이 자신의 영혼과 접촉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고, 이러한 명상이 참된 지식을 얻기 위한 필수적인 수행이라고 썼다.[82]
니야야 수트라는 올바른 지식의 수단을 연구하고, 배우고, 진실하며, 시기심 없는 지식 탐구자들과 토론해야 한다고 4.2.47절과 4.2.48절에서 말한다.[84][85] 니야야 수트라에 따르면 자신의 토론의 본질을 결정할 때 "상대방이 가진 믿음의 본질뿐만 아니라 개인의 성격을 고려"해야 한다. 텍스트는 어떤 경우에는 적대적인 상대와 논쟁을 피하고 "울타리가 씨앗의 성장을 보호하는 데 사용되는 것"과 같은 지식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더 낫다고 주장한다.[84][85]
5. 주석
니야야 수트라에 대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완전한 바샤(논평 및 해설)는 바트사야나가 저술했다.[3] 이 논평 자체는 많은 2차 및 3차 ''바샤''에 영감을 주었다. 바트사야나의 논평은 서기 5세기로 추정되기도 하고,[3] 기원전 2세기경으로 훨씬 더 거슬러 올라가기도 한다.[86] 텍스트에 대한 또 다른 자주 연구되는 현존하는 논평은 서기 9세기경의 바차스파티 미슈라의 저술로 여겨진다.[3]
니야야 수트라에서 영감을 받아 현대까지 전해지는 다른 역사적인 인도 논평 및 저서로는 6세기 우드요타카의 ''니야야-바르티카'', 6세기 바비빅타의 ''니야야-바샤티카'', 7세기 아비드하카르나의 또 다른 ''니야야-바샤티카'', 9세기 바샤르바자나의 ''니야야-부샤나'', 9세기 카슈미르 학자 자얀타 바타의 ''니야야-만자리'', 10세기 카르나타 학자 트리로차나의 ''니야야-프라키르나카'', 10세기 벵골 학자 스리드하라의 ''니야야-칸달리'' 등이 있다.[86][87]
다른 많은 논평들이 다른 인도 역사 텍스트에서 언급되었지만, 이 필사본들은 분실되었거나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서기 11~12세기경부터 우다야나는 니야야 수트라에서 발견된 추론에 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확장한 주요 저서를 썼다. 우다야나의 저서는 나브야-니야야(새로운 니야야) 학파의 토대를 만들었다.[5] 13~14세기의 힌두 학자 강게사는 고타마의 니야야 수트라와 우다야나의 나브야-니야야 저서를 통합하여 학자들에게 걸작으로 여겨지는 영향력 있는 텍스트 ''타트바친타마니''를 만들었다.[5][88]
6. 다른 철학 학파에 미친 영향
니야야 수트라는 인도 철학의 다른 학파, 특히 베단타 학파에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불교와의 논쟁을 통해 불교 철학 발전에도 기여했다.
6. 1. 불교와의 논쟁
니야야 수트라는 힌두교의 푸루샤(정신, 궁극적 실재)와 아트만(자아, 영혼)의 존재를 전제로 하는 주장과, 불교의 아나타(무아)를 전제로 하는 주장 사이의 역사적 논쟁의 기반 중 하나가 되었다.[89][90][91] 니야야 학파는 "영혼은 존재하며, 영혼(또는 자아, 아트만)은 자명한 진리이다"라는 전제를 가지고 있는 반면, 불교는 "아트만은 존재하지 않으며, 무아(또는 '아나타', 비자아)[92]는 자명하다"라는 전제를 가지고 있다.[93]니야야 수트라에는 불교의 전제와 그 전제를 반박하기 위한 논쟁이 여러 장에서 발견된다. 예를 들어, 3.2장, 4.1장, 4.2장의 수트라에서 확인할 수 있다.[97] 2세기 불교 학자 나가르주나는 니야야 학파와 불교가 자아(아트만)에 대한 개념과 베다에 대한 관점에서 다르다고 언급했으며, 니야야 수트라의 수트라 4.2.25는 불교의 중관학파를 겨냥하고 있다.[14]
나가르주나는 ''중론''과 ''비그라하뱌바르타니''에서 니야야 수트라의 기초가 되는 ''프라마나''에 도전하여 공의 증명을 제시했다.[97][95][96] 나가르주나는 그의 저서 ''프라마나-비헤타나''에서 고타마의 니야야 수트라에 나오는 지식의 16가지 범주 각각을 비판한다.[97]
참조
[1]
서적
A concise encyclopedia of Hinduism
Oneworld
1998
[2]
서적
Perspectives of Reality: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Hinduism
Sussex Academic Press
2002
[3]
서적
Perspectives of Reality: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Hinduism
Sussex Academic Press
2002
[4]
서적
Perception. An Essay on Classical Indian Theories of Knowledge
Oxford University Press
1986
[5]
서적
Perspectives of Reality: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Hinduism
Sussex Academic Press
2002
[6]
서적
Nyaya-Sutras of Gautama
Motilal Banarsidass
1999
[7]
서적
The Nyâya Sûtras of Gotama
Motilal Banarsidass
1990
[8]
서적
Hindu God, Christian God: How Reason Helps Break Down the Boundaries between Religions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9]
서적
Perspectives of Reality: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Hinduism
Sussex Academic Press
2002
[10]
서적
The Encyclopedia of Indian Philosophies: Indian metaphysics and epistemology
Motilal Banarsidass
2004
[11]
서적
The Encyclopedia of Indian Philosophies: Indian metaphysics and epistemology
Motilal Banarsidass
2004
[12]
서적
Perspectives of Reality: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Hinduism
Sussex Academic Press
2002
[13]
서적
The Encyclopedia of Indian Philosophies: Indian metaphysics and epistemology
Motilal Banarsidass
2004
[14]
서적
The Encyclopedia of Indian Philosophies: Indian metaphysics and epistemology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2004
[15]
서적
Perspectives of Reality: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Hinduism
Sussex Academic Press
2002
[16]
서적
The Encyclopedia of Indian Philosophies: Indian metaphysics and epistemology
Motilal Banarsidass
2004
[17]
서적
Perspectives of Reality: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Hinduism
Sussex Academic Press
2002
[18]
서적
Sanskrit English Dictionary
http://www.ibiblio.o[...]
Oxford University Press
[19]
서적
An Introduction to Hindu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20]
서적
A History of Indian Literature
Motilal Banarsidass
2010
[21]
서적
The Yoga Sutra of Patanjali: A Biograph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
[22]
서적
The Encyclopedia of Indian Philosophies: Indian metaphysics and epistemology
Motilal Banarsidass
2004
[23]
서적
The Nyâya Sutras
https://archive.org/[...]
Bhuvaneshvar Asrama Press
1913
[24]
서적
The Nyâya Sutras
https://archive.org/[...]
Bhuvaneshvar Asrama Press
1913
[25]
서적
The Nyâya Sûtras of Gotama
Motilal Banarsidass
1990
[26]
서적
Indian Philosophy: A popular Introduction
People's Publishing House
1986
[27]
서적
The Nyâya Sutras
https://archive.org/[...]
Bhuvaneshvar Asrama Press
1913
[28]
서적
Perspectives of Reality: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Hinduism
Sussex Academic Press
2002
[29]
서적
Yoga Philosophy: In Relation to Other Systems of Indian Thought
Motilal Banarsidass
1996
[30]
서적
Epistemology in Classical India: The Knowledge Sources of the Nyaya School
Routledge
2014
[31]
서적
A Concise Dictionary of Indian Philosophy: Sanskrit Terms Defined in English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6
[32]
서적
The Encyclopedia of Indian Philosophies: Indian metaphysics and epistemology
Motilal Banarsidass
2004
[33]
서적
The Nyâya Sûtras of Gotama
Motilal Banarsidass
1990
[34]
서적
The Nyâya Sûtras of Gotama
Motilal Banarsidass
1990
[35]
서적
Perspectives of Reality: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Indian Darshanaparampara
Sussex Academic Press
2002
[36]
서적
Perspectives of Reality: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Hinduism
Sussex Academic Press
2002
[37]
서적
A Concise Dictionary of Indian Philosophy: Sanskrit Terms Defined in English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6
[38]
간행물
India and the Comparative Method
1985
[39]
웹사이트
The Nyâya Sutras
https://archive.org/[...]
1913
[40]
서적
The Encyclopedia of Indian Philosophies: Indian metaphysics and epistemology, Volume 2
Motilal Banarsidass
2004
[41]
웹사이트
The Nyâya Sutras
https://archive.org/[...]
1913
[42]
서적
Epistemology in Classical India: The Knowledge Sources of the Nyaya School
Routledge
2014
[43]
서적
A History of Indian Philosophy, Volume 1
Motilal Banarsidass
2004
[44]
웹사이트
The Nyâya Sutras
https://archive.org/[...]
1913
[45]
서적
Philosophy of Religion : Indian Philosophy Vol 4
Routledge
2000
[45]
서적
A Concise Dictionary of Indian Philosophy: Sanskrit Terms Defined in English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6
[46]
서적
The Essentials of Indian Philosophy
Motilal Banarsidass
2000
[47]
서적
Perspectives of Reality: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Hinduism
Sussex Academic Press
2002
[48]
간행물
Conditions for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a Sentence: The Nyāya and the Advaita Vedānta
2000
[49]
웹사이트
The Nyâya Sutras
https://archive.org/[...]
1913
[50]
서적
Śabdapramāṇa: Word and Knowledge
Springer
1988
[51]
서적
The Encyclopedia of Indian Philosophies: Indian metaphysics and epistemology, Volume 2
Motilal Banarsidass
2004
[52]
서적
The Nyâya Sûtras of Gotama
Motilal Banarsidass
1990
[53]
서적
How the World Thinks
2018
[54]
서적
The Nyâya Sûtras of Gotama
Motilal Banarsidass
1990
[55]
서적
The Encyclopedia of Indian Philosophies: Indian metaphysics and epistemology, Volume 2
Motilal Banarsidass
2004
[56]
서적
Perspectives of Reality: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Hinduism
Sussex Academic Press
2002
[57]
서적
Nyāya Theory of Doubt
1970
[58]
서적
Perspectives of Reality: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Hinduism
Sussex Academic Press
2002
[59]
서적
Perceptual Error: The Indian Theories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8
[60]
서적
Perceptual Error: The Indian Theories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8
[61]
서적
Indian Philosophy: Logic and philosophy of language
Routledge
2001
[62]
서적
Philosophy in Classical India: An Introduction and Analysis
Routledge
2003
[63]
서적
The Concept of Hetvābhāsa in Nyāya-śāstra
2011
[64]
서적
The Nyâya Sûtras of Gotama
Motilal Banarsidass
1990
[65]
서적
The Encyclopedia of Indian Philosophies: Indian metaphysics and epistemology, Volume 2
Motilal Banarsidass
2004
[66]
간행물
Causality in the Nyāya-Vaiśeṣika School
1975
[67]
서적
A History of Indian Philosophy, Volume 1
Motilal Banarsidass
2004
[68]
서적
Perspectives of Reality: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Hinduism
Sussex Academic Press
2002
[69]
간행물
Causality in the Nyāya-Vaiśeṣika School
1975
[70]
서적
Global History of Philosophy: The Patristic-Sutra period, Volume 3
Motilal Banarsidass
2000
[71]
논문
Causality: Sāmkhya, Bauddha and Nyāya
2002
[72]
논문
The Nyaya-Vaisesika theory of negative entities
1978
[73]
서적
Religions, Reasons and Gods: Essays in Cross-cultural Philosophy of Relig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74]
논문
Zum problem des Gottesbeweises in der Indischen Philosophie
1965
[75]
웹사이트
Nyayasutra
https://archive.org/[...]
Anand Ashram Sanskrit Series
[76]
서적
Hindu God, Christian God: How Reason Helps Break Down the Boundar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77]
서적
A Critical Survey of Indian Philosophy
Motilal Banarsidass
1997
[78]
서적
Selected Doctrines from Indian Philosophy
1987
[79]
서적
Perspectives of Reality: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Hinduism
Sussex Academic Press
2002
[80]
서적
The Encyclopedia of Indian Philosophies: Indian metaphysics and epistemology, Volume 2
Motilal Banarsidass
2004
[81]
서적
Yoga, Karma, and Rebirth: A Brief History and Philosophy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9
[82]
서적
Perspectives of Reality: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Hinduism
Sussex Academic Press
2002
[83]
서적
Yoga, Karma, and Rebirth: A Brief History and Philosophy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9
[84]
서적
The Nyâya Sutras
https://archive.org/[...]
Bhuvaneshvar Asrama Press
1913
[85]
서적
The Encyclopedia of Indian Philosophies: Indian metaphysics and epistemology, Volume 2
Motilal Banarsidass
2004
[86]
서적
Classical Indian Philosophy of Mind: The Nyaya Dualist Tradition
SUNY Press
1999
[87]
서적
The Encyclopedia of Indian Philosophies: Indian metaphysics and epistemology, Volume 2
Motilal Banarsidass
2004
[88]
논문
Review: Gadadhara's Theory of Objectivity
1992
[89]
서적
Relativism, Suffering and Beyond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90]
서적
The Self: Naturalism, Consciousness, and the First-Person Stance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91]
서적
Nyaya-Sutras of Gautama, Vol 1
Motilal Banarsidass
1999
[92]
웹사이트
Anatta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13
[93]
서적
Global History of Philosophy: The Axial Age, Volume 1
Motilal Banarsidass
2000
[94]
서적
Early Buddhist Theory of Knowledge
2010
[95]
서적
Bhartrhari: Philosopher and Grammarian
Motilal Banarsidass
1997
[96]
서적
Relativism, Suffering and Beyond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97]
논문
The conflict between the Buddhist and the Naiyayika Philosophers
1990
[98]
서적
Emptiness Appraised: A Critical Study of Nagarjuna's Philosophy
Routledge
1999
[99]
서적
Advaita Epistemology and Metaphysics
Routledge
2002
[100]
서적
A History of the Dvaita School of Vedānta and Its Literature
Motilal Banarsidass
2008
[101]
서적
A History of Early Vedānta Philosophy, Volume 2
198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